문화재

생활/문화 > 문화시설 > 문화재
용인 사은정
용인 사은정
소재지 : 용인시 기흥구 사은로 161(지곡동)
문의 : 031-6193-6052
소개
  •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지곡동(芝谷洞)에 있는 조선 전기의 정자(亭子)이다.? <BR>?<BR>지정종목? 향토문화재? <BR>지정번호? 용인향토유적 제50호? <BR>지정일? 2001년 03월 17일? <BR>시대? 조...

용인향교
용인향교
소재지 : 용인시 기흥구 용인향교로 12-6(언남동)
문의 : 031-6193-6052
소개
  •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언남동에 있는 조선 전기에 세워진 향교.


    [개설]용인향교는 1400년(정종 2)에 창건된 것으로 추정되나 용인이란 지명이 1413년(태종 13)에 생겼으므로 그 이후에 창건되었다고 보는 것이 합리적일 것이다. 용인...

용인 공세리오층석탑
용인 공세리오층석탑
소재지 : 용인시 기흥구 공세로81번길 48(공세동)
문의 : 031-6193-6052
소개
  • 경기도 문화재자료 제42호? <BR>용인공세리오층석탑 (龍仁貢稅里五層石塔)? <BR>유적건조물 / 종교신앙/ 불교/ 탑? <BR>지정(등록)일 1983.09.19 <BR>시대 : 고려시대 <BR>이름을 알 수 없는 옛...

보정동 고분군
보정동 고분군
소재지 : 용인시 기흥구 보정동 산121-2
문의 : 031-6193-6052
소개
  • 사적? 제500호? <BR>용인 보정동 고분군 (龍仁 寶亭洞 古墳群)? <BR>유적건조물 / 무덤/ 무덤/ 고분군? <BR>면적 18,473㎡ <BR>지정(등록)일 2009.06.24 <BR>시대 : 신라 <BR...

죽정 최유경 묘역
죽정 최유경 묘역
소재지 : 용인시 기흥구 고매로131번지 17-7(공세동)
문의 : 031-6193-6052
소개
  • <DIV id=sub_tab01>경기도? 문화재자료? 제120호 최유경(崔有慶)의 묘소는 기흥구 공세동 자봉산(紫鳳山) 기슭에 있다. 그의 묘는 조선 초기의 형식인 방형상분묘 (方形雙墳墓)로서 2단의 장대석 (長臺石)이 둘러져 있고, 묘 앞에는 묘표(墓表)·상석· 향로석·장명...
마북리 석불입상 및 석탑
마북리 석불입상 및 석탑
소재지 : 용인시 기흥구 구성로 33(마북동)
문의 : 031-6193-6052
소개
  • <DIV><SPAN>석불입상은 현재 용화전이라는 전각 속에 봉안되어있다. 전각 바로 좌측면에는 남아있는 부재를 모아 건립한 탑 1기가 있고, 그 앞에는 2열로 선정비들이 늘어서 있다.</SPAN> <SPAN>용화전은 좌우 각 한칸의 건물에 전면...
민영환 선생묘
민영환 선생묘
소재지 : 용인시 기흥구 마북동 544-4
문의 : 031-6193-6052
소개
  • <DIV>경기도 기념물 제18호 민영환(閔泳煥)의 묘소는?기흥구?마북동 구성초등학교 뒷편 산기슭에 있다. 본래?수지구 풍덕천1동?토월마을에 봉분없이 평장되었던 것을 1942년에 후손들이 지금의 위치로 옮긴 것이다. 1959년 3월에는 신도비(神道碑)를 세웠다. 신도비에는 이승...
풍창부부인 조씨 묘
풍창부부인 조씨 묘
소재지 : 용인시 기흥구 상하동 산46-32
문의 : 031-6193-6052
소개
  • 시지정 향토유적 제 9 호 풍창부부인(豊昌府夫人) 조씨(趙氏)의 묘는?기흥구 상하동?민재궁에 있다. 민재궁은 용인에서 3대지 8명당의 하나로 손꼽히는 곳으로 유명하다. 방형(方形)의 분묘 앞 좌측에는 묘비, 중앙에는 혼유석, 상석, 향로석, 그리고 좌우에는 망주석과 문인...

남양홍씨 시정공파 무관묘역
남양홍씨 시정공파 무관묘역
소재지 : 용인시 기흥구 중동 산16
문의 :
소개
  • 용인시 기흥구 중동 산 16번지, 성산으로부터 내려앉은 작은 능선에는 남양 홍씨 무신일문의 묘역이 있다. 일반적으로 문신들의 묘역은 많이 접할 수 있으나, 무신만을 배출하는 가문에서 조성한 묘역은 쉽게 보기 어렵다. 이 묘역은 개시이자 용인지역의 입시조인 홍제(1533~1635)는 임진...
이경증 신도비 및 묘
이경증 신도비 및 묘
소재지 : 용인시 기흥구 영덕동 산 68-16(묘), 산68-21(신도비)
문의 :
소개
  • 이경증(李景曾) (선조 28년:1595~인조 26년:1648)의 본관은 덕수(德水), 자는 여성(汝省), 호는 미강(眉江) 또는 송음(松陰)으로 조선 인조 때의 문신이다. 19세 되던 광해군 5년(1613) 진사가 되었으나, 폐모론(廢母論)이 일어나자 낙향하여 벼슬길에 나가지 않았다. ...
1 2
페이지정보
담당 : 자치행정과    
Tel : 6193-6051