동유래 및 연혁
행정복지센터 > 신갈동 행정복지센터 > 신갈동 소개 > 동유래 및 연혁
신갈동의 유래
- 신갈동
- 신갈동에 딸린 동 중의 하나(행정동명과 일치). 본래 용인현 구흥면 지역이었으나 1914년 행정구역 개편할 때 역촌일부, 신촌, 미동, 갈천, 상촌, 상관곡리 등을 합치고 신촌과 갈천의 첫 자를 따서 신갈동이라 하였음.
신갈동의 연혁
1413 | 태종 13년 용구(龍駒), 처인현(處仁縣)을 합쳐 용인현(龍仁縣)이라 함. |
---|---|
1895.05.26 | 충주부 용인(龍仁)이 되었다가 경기도로 이속됨. |
1914.04.01 | 양지군(陽智郡)을 통합하고, 죽산군(竹山郡) 일부 편입. (12면으로 개편) |
1963 | 고삼면(古三面)이 안성군(安城郡)으로 편입되어 11면이 됨 |
1979.05.01 | 용인면(龍仁面)이 용인읍(龍仁邑)으로 승격(昇格)됨. |
1983.02.15 | 수지면(水枝面)의 하리(下里)와 이의리(二儀里)가 수원시(水原市)로 편입되고, 남사면 진목리(南西面 眞木里)의 월경(越境) 마을이 평택시 (平澤市)로 편입(編入)되어 현재에 이른다 |
1985.10.01 | 기흥면(器興面)이 기흥읍(器興邑)으로 승격됨 |
1996.03.01 | 용인군(龍仁郡)이 도농복합형태의 시로 설치 용인읍(龍仁邑)을 중앙동(中央洞), 역삼동(驛三洞), 유림동(柳林洞), 동부동(東部洞)으로 분할 수지면(水枝面)이 수지읍(水枝邑)으로 승격, 내사면(內四面)이 양지면(陽枝面)으로, 외사면(外四面)이 백암면(白岩面)으로 개칭(改稱)됨. |
2001.12.24 | 수지읍이 수지출장소로 승격, 6개동사무소가 신설되어 1출장소, 2읍, 7면, 10개 동으로 행정체제 개편 |
2005.10.31 | 도농복합형태의 처인구, 기흥구, 수지구청 설치. 포곡면이 포곡읍으로 승격되고, 11개 동 행정복지센터가 새로 신설되어 3개구청, 1읍, 6면, 18개 동의 행정체제로오늘에 이르고 있다. |
- 페이지정보
- 담당 : 신갈동 행정복지센터
- Tel : 6193-6612