동유래 및 연혁
행정복지센터 > 구성동 행정복지센터 > 구성동 소개 > 동유래 및 연혁
구성동의 유래
- 구성동
- 고구려가 자국에 편입한 백제영지를 구성으로 명명한 것은 우리말의 고어에 "크다"는 뜻의 "말아"(예:말매미, 말잠자리)를 한자음 駒(구)로 표기한것으로 풀이된다. "마라" 또는 "말"은 마루의 동의어로서 크다(大) 높 다 (高, 上, 예:산마루)의 의미를 포함한다고 할 때, 구성은 큰성(대성) 또는 마 라재(높은 곳)라는 의미를 지닌 것으로 풀이되며 본래 고구려의 구성(駒 城)에서 유래된 용인시 최초의 행정지명이다.
구성동의 연혁
고구려 | 장수왕 63년(475년) 구성현으로 명명 |
---|---|
통일신라 | 경덕왕 16년(757년) 거서현으로 개칭 |
고려 | 태조 23년(940년) 용구현으로 개칭 현종 9년(1018년) 광주의 임내에 속하게 됨 |
조선 | 태종 13년(1413년)에 용구와 처인을 합쳐 용인현이라 칭하 고 현의 치소(治所)를 구성에 둠 고종 32년(1895년) 용인현을 용인군으로 개칭하고 현의 치 소였던 용인(구성)을 읍내면(邑內面)이라 고치고 북동(北洞), 남동(南洞), 언동(彦洞), 마곡(麻谷) 4개동을 관할 |
1914. 4. 1 | 읍내면을 동변, 서변, 수진의 3개면을 합하여 읍삼면(邑三 面)이라 개칭하고 상하, 동백, 중리, 청덕, 마북, 언남, 보정,죽전 등 8개리를 관할 |
1931. 4 .1 | 읍삼면의 명칭을 고호(古號)인 구성면(駒城面)으로 변경 |
1973. 7. 1 | 대통령령 제6542호에 의하여 죽전리를 수지읍으로 이관하 여 7개리(법정)를 관할 |
1996. 3. 1 | 용인군이 용인시로 승격 (도농복합시의 형태) |
2005. 8. 30 | 행정자치부로부터 "본청 4국18과, 4직속기관, 6사업소, 3 구, 1읍, 6면, 22동"으로 승인받음 |
2005. 10. 31 | 용인시조례 제648호에 의거 구성읍과 기흥읍을 통합하여 기흥구로 명명 |
2005. 10. 31 | 인시조례 제650호에 의거 구성읍이 4개동(구성동, 마북 동, 어정동, 보정동)으로 분할되 어 종래 구성읍의 언남리 및 청덕리 일원이 구성동으로 분리 |
- 페이지정보
- 담당 : 구성동 행정복지센터
- Tel : 6193-6711